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08

서양음악사의 변천과 '새로움'의 의미 서양음악사의 변천과 ‘새로움’의 의미 서론: 음악사 속에서 반복되는 혁신의 패턴서양 음악의 역사를 관통하는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끊임없는 ‘새로움의 등장’이다. 음악은 사회적·정치적 변화와 긴밀하게 맞물리며 발전했고, 새로운 양식은 단순히 이전 것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 속에서 문제를 발견하고 다른 가능성을 모색하며 등장하였다. 14세기의 아르스 노바에서 시작된 음악의 세속화, 17세기 바로크에서의 새로운 미학, 그리고 20세기 현대음악의 다원적 실험까지, 이 흐름은 단절이라기보다는 연속성과 변형의 역사로 이해할 수 있다. 본문에서는 음악사의 주요 국면을 ‘새로움의 등장’과 ‘팽창의 역사’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살펴본다.1. 새로움의 등장과 음악사의 전환점아르스 노바(14세기): 교회 중심에서 세.. 2025. 9. 25.
평균율(12-TET)과 전조의 자유 연재 · 주제: 평균율, 전조의 자유, 조성확장한 줄 요약 — 평균율(12-TET)은 한 옥타브를 12개의 같은 비율로 등분해 모든 조성을 거의 동일하게 만들었고, 그 결과 바로크·고전·낭만을 관통하는 전조의 자유라는 근대 음악의 인프라가 완성되었다.목차서론: 왜 평균율인가원리: 21/12와 로그 감각역사: ‘웰 템퍼라먼트(Well Temperament)’와 평균율의 분기장단점과 음악사적 결과실전: 청취·연주 팁시각자료1: 12칸의 옥타브 눈금시각자료2: 간격 비교표(순정율 vs 평균율)맺음말: 타협의 미학과 자유의 언어서론: 왜 평균율인가르네상스의 순정률은 화음의 맑음을 극대화했지만, 전조가 잦아질수록 음정 불일치가 누적되는 구조적 한계를 드러냈다. 바로크 이후 작곡가들은 먼 관계조로 이동하며 긴 호흡.. 2025. 9. 24.
피타고라스와 음악이론 : 조화의 세계와 순정률(Just Intonation) 피타고라스 · 조율 · 역사한 줄 요약 — 피타고라스의 소리와 수학적 조화는 중세 미학과 대위법을 거쳐, 더 자연스러운 화음을 위한 순정률의 탄생으로 이어졌다.연재 3편 키워드: 순정율(Just Intonation), 조율, 철학/우주론 --> ※ 대표 이미지는 텍스트 없는 JPG로 업로드해 src만 교체하면 됩니다.목차서론: 수학에서 음악으로피타고라스적 조화와 ‘천구의 음악’실제 음악 속 피타고라스 음계의 흔적순정률: 더 자연스러운 조화시각자료1 - 배음 구조 스케치>시각자료2 - 3도 vs 순정 3도>맺음말: 조화에서 표현으로서론: 수학에서 음악으로피타고라스 학파가 발견한 음정의 수 비율은 단순히 음계를 만드는 계산법 이상의 의미를 지녔다. 소리는 눈에 보이지 않고 순간 사라지지만, 수는 불변하며 .. 2025. 9. 24.
피타고라스 음계와 삼분손익법 : 동서양 음계 피타고라스 음계와 삼분손익법: 동서양 음계의 만남연재 2편 · 주제: 음계, 조율, 고대음악사요약 — 서양의 피타고라스 음계와 동양의 삼분손익법은 서로 교류가 거의 없던 시기에도 “소리의 질서를 수로 설명한다”는 같은 질문에서 출발했다. 두 체계 모두 3의 비율을 핵심에 두어 5도·4도를 중심으로 음계를 확장했고, 문화적 실천과 미학의 차이 속에서 각기 다른 음악 세계를 구축했다.Contents동서양의 만남: 비슷한 질문, 다른 길삼분손익법의 원리피타고라스 음계와의 유사성차이점과 문화적 특색역사적 함의와 조율사의 연속핵심 정리 & 다음 읽을거리동서양의 만남: 비슷한 질문, 다른 길피타고라스가 서양에서 소리의 높낮이를 정수의 비로 조직한 것과 거의 같은 시기에 동양에서는 삼분손익법(三分損益法)이 정립되었다.. 2025. 9. 23.
피타고라스와 음정 비율: 고대 음악 속의 수학 피타고라스와 음악: 수 비율, 음계, 그리고 조율의 탄생작성: 2025-09-23 · 주제: 음악이론, 조율, 역사요약 — 피타고라스는 1:2(옥타브), 2:3(완전5도), 3:4(완전4도)처럼 음정이 수 비율로 설명된다는 사실을 체계화했다. 이 통찰은 피타고라스 음계와 중세·르네상스 이론을 거쳐 조율법의 혁신(평균율)에 이르는 핵심 출발점이 되었다. 또한 동양의 삼분손익법과도 원리가 통하며, 완전5도를 12번 쌓을 때 생기는 오차 ‘피타고라스 컴마’는 음악사가 조율을 개선해 온 이유를 잘 보여준다.Contents수 비율로 보는 음정: 1:2, 2:3, 3:4피타고라스 음계: 완전5도의 사슬과 12개의 서로 다른 음대장간과 단현금: 발견의 일화와 과학적 의미피타고라스 컴마: 왜 7옥타브가 딱 맞지 않을까.. 2025. 9. 23.
음악은 어떻게 태어나고 유통되는가 — 세계화·노동·비지니스·개념 연재 5편 · 횡단적 방법론 ②횡단② — 음악사를 가로지르는 또 다른 네 질문 4편에서 신성/세속, 몸과 춤, 도시·인프라, 정치·정체성, 과학·기술을 살펴보았다. 이번 글에서는 남은 네 가지 질문 — 세계화와 수용·변용, 젠더·노동·교육, 비지니스 모델, 작품 개념 — 을 탐구하며 횡단적 방법론의 지도를 완성한다.요약 — 본 편은 음악이 국경을 넘고, 누가 만들며, 어떤 경제 모델 속에서 유통되며, 무엇을 ‘작품’이라 부르는지를 묻는다. 이를 통해 음악사는 단일한 선이 아니라 다층적 조건의 네트워크임이 드러난다.1. 세계화와 수용·변용 — 음악의 이동 경로 2. 젠더·노동·교육 — 누가 음악을 만드는가 3. 비지니스 모델 — 후원에서 스트리밍까지 4. 작품 개념 — 고정물인가 사건인가 맺음: 실전 좌표.. 2025. 9.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