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크 시대와 음악의 핵심 정리 (1600–1750)

바로크(Baroque, 포르투갈어/스페인어 barroco, ‘일그러진 진주’)는 봉건적 절대주의가 전개되던 17~18세기 전반의 예술 양식이다. 음악에서는 계속저음이 공통 기반이 되었고, 극적 대비와 콘체르타토 사고가 다양한 장르를 탄생시켰다.
1. 개요
바로크는 1600년부터 1750년까지를 대략 아우르는 시대와 그 음악 양식을 말한다. 용어의 어원은 ‘일그러진 진주’로, 규범을 벗어난 과장과 장식을 빗댄 표현이다. 음악적으로는 계속저음(basso continuo)의 시대이자 콘체르토적 사고가 확립된 시기다.
2. 17세기 사회·문화 배경
2-1. 정치와 사회
절대주의의 대두로 왕권이 문화의 중심이 되었고, 전쟁과 종교 분쟁이 이어졌다. 프랑스는 왕권신수설을 바탕으로 베르사유 궁정 문화를 꽃피우며 외교·문학·예술에서 유럽을 주도했다.
2-2. 과학과 사상
케플러의 행성운동법칙, 갈릴레이의 관측 천문학, 뉴턴의 만유인력 등 과학 혁신이 근대적 기계론적 자연관을 낳았다. 항해술·조선술·나침반 발전은 신항로 개척과 신세계 경쟁 탐험을 촉발했다.
철학에선 베이컨의 경험주의, 데카르트의 합리주의, (다음 세대로 이어지는) 칸트의 비판 철학이 지적 지형을 바꿨다. 로크의 자연권(생명·자유·재산)은 근대 자유주의의 토대가 되어 이후 미국·프랑스 혁명의 정신을 지탱했다.
3. 바로크 예술의 성격
바로크 미술은 색채·세부·장식의 잠재력을 크게 확장했고, 공간을 움직임과 극적 연출로 가득 채웠다. 음악 또한 르네상스의 동질성보다 다양성과 대비를 중시하며 새로운 양식을 창조했다.
4. 바로크 음악의 핵심 특징
4-1. 제1작법 vs 제2작법
- 제1작법(Prima prattica) — 네덜란드 악파의 대위적 전통. 가사보다 음악이 우위, 각 성부의 균형, 탁투스(일정 박)의 리듬.
- 제2작법(Seconda prattica) — 이탈리아 신양식. 가사 표현이 우선이며 불협화음도 표현 수단으로 허용. 모노디(단선율 + 계속저음)로 말하듯 노래하는 낭송적 선율과 장식적 즉흥이 발달.
4-2. 화성과 장단조의 정립
르네상스의 교회선법에서 벗어나 장·단조의 조성 체계가 확립되었다. 대담한 불협화음과 전조가 활발히 쓰이며, 평균율·균등조율의 보급과 함께 바흐의 평균율 클라비어곡집이 결정적 이정표가 되었다.
4-3. 계속저음(Basso continuo)
독립된 저음선율이 곡 전체의 화성 기반을 제공한다. 보통 하프시코드·오르간이 화성을 보태고, 첼로나 비올 다 감바가 베이스를 연주한다. 숫자저음(figured bass) 기보로 내성음을 지시하고, 연주자는 상황에 맞게 즉흥적으로 화음을 완성한다.
4-4. 성부 짜임새: 호모포니와 폴리포니
호모포니는 상성부 선율을 중심으로 계속저음과 화음이 받치는 짜임새로 성악·기악 모두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동시에 기악 분야에선 폴리포니가 여전히 중요했고, 같은 주제를 성부들이 뒤이어 제시하는 모방대위가 발전했다. 그 정점에 푸가가 있다.
4-5. 대비와 콘체르타토 양식
바로크의 미학은 대비(다이내믹, 음색, 규모)를 핵심 자원으로 삼는다. Concertare(경쟁·협동)에서 온 콘체르타토는 큰 앙상블 ↔ 작은 앙상블, 합창 ↔ 합창, 독주 ↔ 합주 등 집단 간 교대와 응답을 통해 극적 효과를 만든다. 이 과정에서 급격한 셈여림 변화(테라스 다이내믹)가 자주 나타난다.
5. 대표 장르와 작곡가
- 극음악: 오페라(몬테베르디), 오라토리오·칸타타(헨델·바흐)
- 기악: 합주협주곡/독주협주곡(비발디), 모음곡, 소나타, 푸가
- 핵심 인물: 몬테베르디 · 비발디 · 바흐 · 헨델
6. 감상 팁
- 저음 라인이 끊임없이 진행되며 화성을 이끈다(계속저음).
- 독주와 합주의 대조, 공간의 울림과 규모 변화에 주목한다(콘체르타토).
- 모방대위가 시작되는 지점과 주제의 변주를 귀로 따라가 본다(푸가).
7. 용어 간단 정리
- Prima/Seconda prattica — 르네상스 대위 전통 vs 가사 표현 중심 신양식
- 모노디 — 독창 선율 + 계속저음 반주
- 계속저음 — 곡 전반의 화성 토대를 이루는 지속 베이스
- 콘체르타토 — 연주 집단 간 경쟁·협동의 대비 원리
- 테라스 다이내믹 — 갑작스러운 셈여림 단계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