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예술인 지원·정책

서울문화재단 - 예술인 지원정책 : 창작공간입주 공모 2025년 접수

by edu414 2025. 10. 1.
서울문화재단; 창작공간입주공모
공모 안내
2025 서울문화재단 창작공간입주공모
구성 공간(6) — 금천예술공장, 신당창작아케이드, 서울무용센터, 서울장애예술창작센터, 연희문학창작촌, 서울연극창작센터 연극인 오피스
일정 — 접수기간: 공간별 상이 / 심의: 2025.11–12 / 발표: 2025.12 예정

요약

  • 목적: 창작자(개인·단체)의 안정적 창·제작 활동을 위한 공간·프로그램 지원
  • 대상: 각 공간의 분야·목적에 부합하는 창작자
  • 주요 혜택: 작업실/집필실/연습실/오피스, 멘토링·네트워킹 등(공간별 상이)
  • 유의: 중복지원/중복선정 제한, 공간 사용 의무, 활동보고 등 공고문 준수 필수

목차

  • ① 소개
  • ② 신청 시기(공간별) — 빠른 체크 / 필수 준비
  • ③ 신청 대상(공간별 핵심 요건)
  • ④ 신청 방법(공고 게시판·NCAS)
  • ⑤ 혜택(공간별 상이)
  • ⑥ 선정 전략
  • ⑦ 타임라인
  • ⑧ 주의 문구

① 소개

금천예술공장 시각예술

작업실 지원을 통한 시각예술 분야 안정적 창작활동 지원

신당창작아케이드 공예·디자인

창작공방 및 작가 역량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공예·디자인 분야 안정적 창작활동 지원

서울무용센터 무용

작업공간 및 연습실 지원을 통한 무용 분야 안정적 창작활동 지원

서울장애예술창작센터 장애예술·시각

작업실 지원을 통한 시각예술 분야 장애예술인 안정적 창작활동 지원

연희문학창작촌 문학

집필실 지원을 통한 문학 작가 대상 안정적 창작환경 제공

서울연극창작센터 연극인 오피스 연극

연극인 전용 사무공간 지원을 통한 연극 분야 비영리법인 및 예술단체의 안정적 활동기반 제공

※ 소개는 통상적 성격이며, 세부 요건·운영 형식은 매 공모마다 변동 가능. 최종 공고문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② 신청 시기(공간별)

공간 접수기간 링크(KR) 링크(EN)
금천예술공장 2025.10.13(요일)–10.24(요일) 링크 Link
신당창작아케이드 2025.11.12(요일)–11.27(요일) 링크 Link
서울무용센터 2025.11.05(요일)–11.18(요일) 링크 Link
서울장애예술창작센터 2025.11.05(요일)–11.26(요일) 링크 Link
연희문학창작촌 2025.10.22(요일)–11.11(요일) 링크 Link
서울연극창작센터 연극인 오피스 2025.10.27(요일)–11.10(요일) 링크 Link
 

빠른 체크

  • 내 작업–공간 적합성 100%인가?
  • 중복지원/중복선정 제한을 확인했는가?
  • 상주·출석·활동 등 공간 사용 의무를 충족 가능한가?
  • 포트폴리오를 최신·대표작 중심으로 간결하게 정리했는가?

필수 준비

  • 지원서(소정 양식) · 자기소개/창작계획서
  • 포트폴리오(이미지/영상/원고, 링크 권장)
  • 활동 증빙(전시·공연·출판·수상 등)
  • 신분·단체 증빙(등본/사업자등록증 등, 해당 시)

심의: 2025.11–12 / 발표: 2025.12 예정

③ 신청 대상(핵심 요건 — 공간별)

  • 공통: 해당 공간의 목적·분야·활동형태에 부합하는 창작자(개인/단체)
  • 금천예술공장: 레지던시 적합도 및 프로젝트 실행 가능성
  • 신당창작아케이드: 공예/디자인 등 제작 기반 활동자
  • 서울무용센터: 무용 창작·리허설·발표 계획 보유
  • 서울장애예술창작센터: 장애예술 창작활동자(개인/단체)
  • 연희문학창작촌: 거주 기반 문학 창작 활동자
  • 서울연극창작센터 연극인 오피스: 연극 창작단체·프로듀싱 기반 활동자

※ 구체 요건·자격·제한은 각 공간의 최종 공고문을 따릅니다.

④ 신청 방법

  • 공고 게시판 확인 → 양식 다운로드 → 온라인 접수 공고 게시판(KR) Notice(EN)
  • NCAS를 사용하는 공고의 경우, 계정 생성 후 서류 제출 NCAS 바로가기
  • 문의: 각 공간 사무국(FAQ/유선/이메일) — 공고문 연락처 기준

⑤ 혜택(공간별 상이)

  • 공간 제공: 스튜디오/집필실/연습실/오피스 등
  • 프로그램: 멘토링, 워크숍, 오픈스튜디오/쇼케이스
  • 네트워킹·홍보: 입주자 교류, 성과발표 연계
  • 기타: 제작비·기술지원(해당 시)

※ 제공 범위·기간·금액은 각 공간의 최종 공고문에 따릅니다.

⑥ 선정 전략

  • 공간적합성: “왜 이 공간이어야 하는가”를 2–3문장으로 명료하게
  • 실행가능성: 기간·마일스톤·성과지표(KPI) 간단 명료
  • 포트폴리오: 대표작 5–8개, 역할·성과를 수치화(관객·판매·수상 등)
  • 공공성/파급효과: 커뮤니티 기여(오픈스튜디오, 토크 등) 계획
  • 중복리스크: 타 레지던시·학업·근로와의 시간 충돌 사전 차단

⑦ 타임라인

① 공고/접수 공간별 상이(상단 표 참조)
② 심의 2025.11–12
③ 발표 2025.12 예정
④ 입주/활동 시작 2026.XX (공간별 공고 기준)

⑧ 주의 문구

본 포스팅은 요약 안내이며, 모든 사항은 최종 공고문이 우선합니다. 접수기간·자격·제출서류·중복제한·의무사항 등은 공간별로 상이할 수 있으며, 일정은 주최 측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