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소개
청년예술지원은 데뷔 경험이 없는 청년예술인의 첫 작품 발표를 돕는 사업입니다. 제작–리허설–발표 단계별 준비를 지원하며, 분야는 공연·시각·다원 중심으로 열려 있습니다. 문학 발표·발간은 같은 통합공모의 문학 발간지원에서 별도 운영됩니다.
2) 신청 시기
세부 | 접수기간 | 심의기간 | 발표시기 |
---|---|---|---|
청년예술지원 | 2025년 11월 ~ 2026년 1월 | 개별 공고 확인 | 2026년 1월 예정 |
세부 마감일(날짜·시각) 및 서식 업데이트는 개별 공고를 최종 기준으로 확인하세요.
3) 신청 대상
- 공고에서 정의한 청년 예술인(개인/단체) 중 ‘첫 발표’ 기준에 해당하는 자
- 분야 적합: 연극·무용·음악·전통·시각·다원 (문학은 ‘문학 발간지원’ 별도)
- 연령·거주·경력 등 세부 자격/제한, 중복지원 규정은 해당 연도 공고문 기준
4) 신청 방법
- SCAS 로그인 → 「청년예술지원」 선택 → 신청서·예산서·포트폴리오·증빙 업로드
- 신청서: 작품 개요, 진행 방법, 마일스톤 일정, 발표 계획(공간/관객경로), 안전·권리(저작권/초상권)
- 예산서: 인건·창작·공간·장비·홍보·안전·회계 등 증빙 가능한 구조로 편성
- 제출 후 ‘접수완료’ 상태 확인(마감 시각 엄수)
서식·첨부 목록은 공고 지정 양식에 따릅니다.
5) 신청 혜택
- 첫 작품의 제작·리허설·발표 경비 일부 지원
- 재단 네트워크 연계 등 부가 프로그램(운영 범위 내)
6) 선정 전략
- ‘첫 발표’ 해당 사실을 서두에 명확히 표기
- 실행성 있는 일정: 연습·테크·오픈·기록 등 마일스톤을 주 단위로
- 관객 접점: 공간·채널·협력, 접근성(배리어프리/다언어)을 간단히 포함
- 정산 친화 예산: 핵심 항목과 증빙 방법(견적·계약·영수)을 한 줄로
- 안전·권리: 저작권·초상권·보험·안전관리 체크리스트 명시
실제 심의 지표·비중은 공고문을 따릅니다.
7) 분야·참여 범위(표)
분야 | 참여 가능 여부 |
---|---|
연극 | ● |
무용 | ● |
음악 | ● |
전통 | ● |
시각 | ● |
다원 | ● |
문학 | — (문학은 ‘문학 발간지원’에서 별도 운영) |
8) 일정 요약(표)
세부 | 접수기간 | 심의기간 | 발표시기 |
---|---|---|---|
청년예술지원 | 2025년 11월 ~ 2026년 1월 | 개별 공고 확인 | 2026년 1월 예정 |
요약
핵심: ‘첫 작품 발표’를 목표로 한 청년 예술인의 제작–리허설–발표를 지원합니다. 접수는 2025년 11월~2026년 1월, 발표는 2026년 1월 예정입니다. 자세한 자격·서식·마감 시각은 SCAS 공고(링크)에서 확인하세요.
'예술인 지원·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로예술지원- 서울문화재단 : 2026년 예술지원 통합공모 (0) | 2025.09.30 |
---|---|
2026년 예술지원 통합공모 1차 -예술창작활동지원 분야 (0) | 2025.09.30 |
2026년 예술지원 통합공모 1차 - 서울문화재단(SCAS) (0) | 2025.09.30 |
청년예술인 예술활동 적립계좌 지원정책(원금 2배 수익 창출) (0) | 2025.09.30 |
예술활동준비금 지원사업(구:창작준비금)-예술인을 위한 지원 (0) | 2025.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