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양음악사

귀도 다레초: 계명창·헥사코드·4선 보표 완전 해설

by edu414 2025. 10. 20.

귀도다레초 - 계명창, 헥사코드, 4선보표

이전 편 보기
① 성무일도와 시편창법
바로가기
② 교회선법: 여덟 선법
바로가기
③ 트로푸스와 부속가 
바로가기
서론 — 왜 ‘귀도 다레초’인가

귀도 다레초(Guido d’Arezzo) 계명창(solmization) 헥사코드(hexachord) 4선 보표 Micrologus

지역마다 제각각이던 채보·교수법을 듣고–읽고–부르는 하나의 시스템으로 묶은 인물이 바로 귀도 다레초다. 그는 6음 계명창(ut–re–mi–fa–sol–la)헥사코드, 그리고 4선 보표로 그레고리오 성가 교육을 체계화했다. 결과적으로 성가는 기억 의존에서 읽기·기보 중심으로 이동한다.

핵심 한 줄 — “귀도 다레초: 6음 계명창 + 4선 보표로 교육혁신의 표준을 만들다.”
개요(Overview)
시대
11세기 초중반(미크롤로구스 저술 시기 포함)
주제
계명창·헥사코드·4선 보표의 원리와 교육 혁신, 그리고 그레고리오 성가 전통에 미친 영향
핵심용어
ut–re–mi–fa–sol–la · hexachord(자연/하드/소프트) · mutation(뮤틸라치오) · C/F 기준선 · Micrologus
1. 문제의식 — 기억에서 읽기로

구전·기억 중심의 교수는 지역 편차가 컸다. 귀도는 누구나 같은 위치에서 같은 음을 읽고 같은 규칙으로 노래하게 만드는 표준이 필요하다고 봤다. 해법은 계명창보표의 결합이었다.

2. 계명창의 원리 — ut–re–mi–fa–sol–la
  • 6음 단위: 7음(도레미) 체계가 아니라 6음으로 학습—핵심은 mi–fa 반음 인지.
  • 세 가지 헥사코드: 자연·하드·소프트(반음 위치·시작음 차이)로 음역을 유연하게 커버.
  • 계명창의 목적: 음 간 관계를 몸에 익혀 어느 음높이에서도 같은 패턴으로 노래.
한 줄 요약 — “6음–반음(mi–fa) 중심의 ‘관계 학습’이 계명창의 핵심.”
2-1. 헥사코드 3종 한눈에 보기

자연 헥사코드(C 시작): ut–re–mi–fa–sol–la, 반음은 mi–fa (E–F)

하드 헥사코드(G 시작): ut–re–mi–fa–sol–la, 반음은 mi–fa (B–C)

소프트 헥사코드(F 시작): ut–re–mi–fa–sol–la, 반음은 mi–fa (A–B♭)

Tip — 학습 포인트는 어디에서 mi–fa 반음이 나오느냐를 귀로 익히고, 시작음이 달라도 계명 관계는 동일하다는 점을 체득하는 것.
3. 뮤틸라치오(mutation) — 부드러운 전환

서로 겹치는 음에서 계명 이름을 바꿔타는 기법이 뮤틸라치오다. 예를 들어 G에서 C 음역대로 넘어갈 때 mi–fa 반음 규칙을 유지하며 자연스럽게 전환한다. 이는 실제 낭송·합창에서 개창의 정확성을 높였다.

3-1. 뮤틸라치오 간단 예시

선율이 G 부근에서 시작해 C 쪽으로 확장될 때, 겹치는 음(예: G)에서 계명을 solre로 전환하여 다음 헥사코드로 넘어간다. 이렇게 하면 mi–fa 반음 규칙을 유지한 채 음역을 넓힐 수 있다.

  • Before: (하드 헥사코드 영역) … mi–fa–sol
  • Mutation: 겹치는 음에서 계명 교체 — sol(G)re(G)
  • After: (자연 헥사코드 영역) … mi–fa 관계 유지하며 진행
한 줄 정리 — 뮤틸라치오는 겹치는 음에서 계명을 갈아타 헥사코드 경계를 자연스럽게 넘는 방법이다.
4. 4선 보표 — C·F 기준선으로 정확한 채보

귀도는 4선 보표색으로 구분된 C/F 선을 제시해, 네움의 상대 높이를 절대 위치로 고정했다. 이는 수도원 교육합창 실천에서 정확도를 끌어올리고, Micrologus와 함께 교수 매뉴얼의 역할을 했다.

한 줄 요약 — “보표의 ‘좌표화’가 읽기·기억의 불확실성을 대체했다.”
5. 교육과 보급 — Micrologus의 영향

귀도의 Micrologus실용 교육서로, 계명창·헥사코드·보표 사용을 교실 현장에 이식했다. 결과적으로 유럽 여러 지역에서 통일된 교수 절차가 형성되고, 이는 훗날 솔페지의 뿌리가 된다.

6. 그레고리오 성가·근대 교육에 남긴 영향
  • 성가 교육: 개창·합창 정확도 상승, 레퍼토리 보급 가속.
  • 작곡·기보: 패턴 기반 사고 정착(모티프·음형 학습).
  • 장기적 파급: 솔페지·시창청음 교육의 원형 제공.
핵심 정리(Key Takeaways)
  • 귀도 다레초 = 계명창(6음) + 헥사코드 + 4선 보표로 교육 표준 확립.
  • 뮤틸라치오로 헥사코드 간 전환을 매끄럽게 하여 개창 정확성 향상.
  • 그레고리오 성가 교육의 읽기 중심 전환 → 솔페지 전통의 기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