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사업명
예술활동준비금지원사업(구: 창작준비금)
주관
한국예술인복지재단(KAWF)
시행
연 1회 · 격년제 수혜(동일 개인은 연속 수혜 불가)
지원규모
1인 300만 원 / 총 20,000명(2025 기준) — 예술활동 증진 및 생활안정 도모
공식
공고(국문): 사업 공고 (링크) · 시스템: 예술활동준비금 시스템 (링크)
1. 소개
창작의 준비 단계를 실질적으로 뒷받침하는 생활·창작 보조 성격의 현금 지원입니다. 예술활동증명을 마친 예술인에게 격년제로 1인 300만 원을 지급하여 활동 지속성과 진입(신진) 지원을 목표로 합니다.
왜 좋은가? 수혜 규모가 크고(연 2만 명), 현금성이라 바로 제작·조사·교육·장비 등으로 전용 가능. “한 번 준비금 → 다음 공모 성공률 상승” 선순환을 만들기 좋습니다.
2. 신청 시기
구분 | 내용 |
---|---|
접수 기간 | 2025년 기준: 2025년 02.28(금) 10:00 – 03.31(월) 17:00 (온라인/우편, 마감 후 접수 불가) |
공고/사전안내 | 공고: [공고] 2025년 사업 공고 (링크) · 사전안내: 신청 사전 안내 (링크) |
신청 시스템 | 온라인: 예술활동준비금 시스템(로그인) (링크) · 우편: 공고문 우편접수 기간/주소 참조 |
3. 신청 대상
- 예술활동증명 완료자(공고일 기준 유효) — 신진·중견 포함
- 소득인정액 중위소득 120% 이하
- 원로·장애예술인 포함(별도 요건은 공고문 참조)
4. 신청 방법
- 온라인: 시스템 로그인 → 신청서 작성 → 증빙 업로드 → 제출 → 접수완료 확인
- 우편: 공고문에 명시된 기간·주소 준수(소인 유효)
- 필수: 예술활동증명 상태 유효·개인정보동의·소득정보 확인(사회보장정보시스템 연계)
심사 과정 요약: 행정심사(자격/서류) → 소득·자격 확인 → 전문가 자문 심의 → 선정 공고. (상세 배점/우선순위는 시행지침 참조)
5. 신청 혜택
- 1인 300만 원 현금성 지원(격년제) — 준비·조사·교육·장비·컨설팅 등 폭넓게 활용
- 수혜 규모 연 20,000명(2025) — 신진 진입·경력 도약에 실효성
- 선정 후 필수 교육(성희롱·성폭력 예방 등) 이수 시 집행 가능
6. 선정 전략
- 자격 선확인: 예술활동증명 유효기간·분야 일치 여부 점검(공고일 기준)
- 소득 기준: 중위소득 120% 이내 사전 확인(가구정보 변동 시 서류 준비)
- 격년제 유의: 직전년도 수혜 이력 있으면 이번 회차 신청 불가
- 증빙 완결성: 이름·날짜·분야가 명확한 활동증빙 위주, 누락·모호 표현 금지
- 마감 리스크 관리: 온라인은 마감 24시간 전 제출, 우편은 소인 기간 내 발송·등기번호 보관
- 후속 계획: 준비금 사용 후 ‘성과·활용계획’ 간단 보고 포맷 미리 확보(차기 공모·보고서에 재활용)
'예술인 지원·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예술인 예술활동 적립계좌 지원정책(원금 2배 수익 창출) (0) | 2025.09.30 |
---|---|
서울아트마켓(PAMS) 2025년 일정, 참여방법 (0) | 2025.09.29 |
서울국제공연예술제(SPAF) 2025년 일정, 예매, (0) | 2025.09.29 |
ARKO 국제협업지원·해외레지던시 참가지원(2025) (0) | 2025.09.28 |
인천문화재단 예술창작지원사업 2025년 (0) | 2025.09.26 |